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헤드폰&이어폰 잡담

스피커에 우퍼, 미드레인지, 트위터, 풀레인지 등 재생대역은 무엇인가요? 스피커에 보면 재생대역에 따라서 우퍼, 미드레인지, 트위터, 풀레인지 등으로 나뉘어서 부릅니다. 그텋다면 과연 어떻게 해서 이렇게 나누는 것일가요? 우선 우퍼는 저음부를 재생하는 스피커를 이야기합니다. 이 우퍼는 별도의 파워엠프가 대부분 내장 되어 있어서 외부전원공급이나 앰프 없이 스스로 소리를 내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미드레인지는 저음과 고음 사이에서 발생하는 중음을 담당하는 스피커입니다. 주로 다양한 악기 음등이 이 미드레인지를 통해서 나옵니다. 스피커에서 트위터는 고음역을 재생하는 것으로 보통 미드레인지나 우퍼스피커보다 아주 작은 크기이면서 누구보다도 빠르게 진동해야 하는 부분입니다. 특히 이 트위터에서 나오는 고음은 스피커의 방향이나 청취자의 방향에 따라서 소리가 완전히 다르게 들리기 때문에 위.. 더보기
음원 MP3, WAV, FLAC 차이는 무엇이고 어떤게 음질이 가장 좋을가요? 우리가 흔히 가장 많이 사용하는 음원 파일은 MP3입니다. 사실 황금귀가 아닌 이상은 해드폰이나 이어폰에서는 198kbps 디지털 파일로 만들어진 MP3만 되어도 거의 WAV나 FLAC파일과 특별하 차이를 느끼지 못할 정도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스피커를 사용할 때는 확실하게 MP3파일과 FLAC, WAV파일은 차이가 납니다. 그렇다면 이 3가지 디지털음원 포멧 중에 어떤게 가장 음질이 좋을가요? 일반적으로 음질은 WAV>FLAC>MP3 순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왜 이렇게 되는지는 아래에서 설명하겠습니다. 우선 MP3파일은 용량을 압축해서 내놓는 디지털음원 파일입니다. 그래서 WAV나 FLAC과 비교하면 용량이 엄청나게 작습니다. 이런 용량의 차이는 대량의 곡을 휴대폰에 보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 더보기
이어폰에 오픈형과 인이어가 무엇인가요? 이어폰에 오픈형과 인이어가 무엇인가요? 이어폰은 크게 보면 오픈형과 인이어 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거의 모든 이어폰이 인이어로 나오는 경우가 많죠. 그 이유는 오픈형의 경우 귓바퀴에 장착해서 사용할 수 있지만 차음성이 부족해서 시끄러운 야외에서 사용하기 좋지 않기 때문입니다. 반면에 인이어 이어폰은 위에 오른쪽 사진처럼 귀에 깊숙이 들어가게 만들어져 있습니다. 그래서 외부 소리가 안들어오게 차음성이 좋고, 조용한 곳에서도 무리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음질 또 한 오픈형보다 더 좋게 들리게 만들기 쉽기 때문에 요즘 대부분의 무선 혹은 유선 이어폰들이 인이어 이어폰으로 나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더보기
헤드폰과 이어폰의 역사는 어떻게 되는가요? 헤드폰의 역사는 무려 1919년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최초의 헤드폰으로 불리우는 것은 별도의 파워엠프가 꼭 필요한 제품이었고, 이 제품은 Nathaniel Baldwin이란 사람에 의해서 개발되어서 미 해군에서 사용하였습니다. 이렇게 군용으로 개발된 헤드폰은 음악감상용으로 나오게 된 것은 바로 지금도 유명한 독일의 베이어다이나믹(Beyerdynamic)에 의해서였습니다. 세계에서 처음으로 다이나믹 헤드폰으로 불린 DT-48이 나온 것입니다. 이 DT시리즈는 베이어다이나믹사의 유구한 역사로 계속해서 이름이 이어져 오게 됩니다. 최근에는 DT880헤드폰이 세계 4대 레퍼런스 헤드폰으로 불릴 정도로 전 세계적인 인기를 끌었습니다. 이렇게 시작된 헤드폰의 역사는 계속해서 베이어다이나믹사에 의해서 발전을 거듭하.. 더보기
임피던스가(옴) 낮은 헤드폰이나 이어폰에도 헤드폰 앰프가 필요할 가요? 여전히 많은 사람들에게 여러가지 이야기를 듣는 것이 바로 헤드폰 엠프가 임피던스(옴)가 50옴 이하인 헤드폰이나 이어폰에 필요한가 하는 부분입니다. 우선 이부분에 대해서 과거의 휴대폰에는 충분히 성능이 좋은 DAC가 없었기 때문에 낮은 옴수에서도 출력을 충분히 얻기 위해서 헤드폰 앰프가 필요했을지도 모릅니다. 과거 애플 아이폰이 나오기전까지 출시된 휴대폰에서 헤드폰이나 이어폰으로 음악을 듣다가 좋은 DAC칩이 달려 있는 헤드폰 앰프에서 들으면 차이가 많이 났습니다. 그래서 아이폰 이전까지는 애플에서도 출력이 충분히 나오는 MP3플레이어를 따로 출시했을 정도로 휴대폰에서 음악 듣는 것이 만족스럽지 못한 경우가 많았습니다. 아무래도 디지털 음악을 아이폰 이전의 휴대폰들이 충분하게 제대로 소화를 못해준 것이 .. 더보기
인티앰프란 무엇인가요? 우리가 흔히 오디오에 처음 입문하면 가장 먼저 듣게 되는 이야기 중에 하나가 바로 인티앰프입니다. 이 인티앰프는 인티그레이티드 앰플리파이어( Integrated Amplifier)의 줄임말입니다. 이 인티앰프에는 앰프구성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프리앰프와 파워앰프를 한 기기 안에 동시에 포함하고 있는 통합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초보자분들이 일일이 파워엠프 따로 그리고 프리엠프 따로 등 번거롭게 구성하지 않고 한 기기에서 소리를 내어 줄 수 있는 엠프가 모두 들어가 있는 것입니다. 이런 인티앰프는 소스기기를 통해서 소리를 증폭시켜서 내기 때문에 소스기기를 인티앰프에 연결만하면 스피커로 바로 소리를 내어서 들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오디오를 좀더 전문적으로 하시는 분들은 고가의 파워엠프와 프리엠프를 따로 .. 더보기
패시브스피커와 액티브스피커는 무엇인가요? 초보자에게는 어떤게 좋은가요? 스피커는 크게 액티브스피커와 패시브스피커로 나뉩니다. 그렇다면 과연 이 두가지의 스피커는 어떤 차이점이 있을가요? 액티브스피커란? 액티브스피커란 스피커가 소리를 내기 위해서 엠프 같은 기기를 필요하지 않는 스피커를 말합니다. 쉽게 말해서 블루투스로 연결해서 바로 음악을 들을 수 있거나 컴퓨터에 USB로 연결해서 바로 음악을 듣거나, AUX나 광케이블을 연결해서 바로 음악을 들을 수 있는 스피커입니다. 이런 스피커들은 스피커 안에 소리를 낼 수 있게 해주는 DAC칩 등의 전자제품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엠프 자체를 스피커 울림통 안에 포함하고 있는 경우입니다. 따라서 다른 외부 엠프가 필요 없이 언제든지 외부 기기와 연결해서 소리가 나옵니다. 액티브스피커는 초보자들이 사용하기에 이점이 있다! 그렇다면.. 더보기
노이즈캔슬링 무선헤드폰과 무선이어폰은 마치 3D TV 같은 운명을 맞이할 가능성도? 2009년 영화 아바타가 빅히트를 친 후 갑자기 TV에서도 3D TV열풍이 불었던 적이 있습니다. 특히 3D TV와 인터넷 스마트 TV가 같이 되는 제품들은 가격대도 비싼 것이 현실이었습니다. 저 같은 경우에도 5년전에 거실에는 삼성 65인치 3D 스마트 TV, 제 방에는 LG 60인치 3D 스마트 TV를 설치했습니다. 개인적으로 서재로 사용하는 곳에는 옛날부터 사용하든 34인치 짜리 LG HDTV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2009년 이후 미친 듯이 열풍이 불었던 3D TV 지금은 어떻게 되었을가요? 삼성과 LG뿐만 아니라 중국 업체들조차도 요즘은 3D 기능 없애고 가격 낮춘 제품들이 대부분입니다. 요즘 TV 구입 하시는 분들 중에 3D TV 구입하시는 분들이 거의 없다는 이야기까지 나오고 있죠. 3D 기술.. 더보기

반응형